싱크홀 진단장비 외산 일색…국내 R&D 시급

일반입력 :2014/10/01 12:00

이재운 기자

갑자기 땅이 꺼지는 이른바 ‘싱크홀(Sink Hole)’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를 탐지하는 장비가 대부분 외국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특허청은 최근 서울 도심 등에서 발생한 싱크홀과 관련해 국내에 도입된 탐사장비가 대부분 외국산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국내 도심지질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려운 탓에 지하 빈 공간인 ‘동공’ 파악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장비의 국산화가 시급하지만, 아직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과 특허출원 실적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지하탐사관련 특허출원 현황을 집계한 결과 지하 동공 등 지하지형탐사 기술 분야가 56%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83%가 지하탐사장비 배치나 조합 등에 관한 것으로, 탐사신호를 처리·분석하는 등 싱크홀 탐색을 위한 핵심기술 특허출원은 17%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의 경우 지하탐사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탐사신호 처리·분석 특허출원 비중이 24%에 달했다. 이는 지질특성과 지하동공 지도정보를 활용한 도심 지하의 이상 유무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에서는 아직 도심 지하지도 정보가 부족해 최적화된 탐사신호 개발이 어렵고, 그나마 개발돼있는 탐사신호 처리·분석 기술 등의 특허출원도 현장 취득 탐사신호를 실내에서 단순 분석하는 기술 등으로 국한된 점 등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관련기사

현재 국내에서는 이성엔지니어링이라는 업체가 지하투과레이다(GPR) 국산화에 성공, 육군 땅굴 탐지시스템에 공급 중에 있으나 다른 업체는 전무한 상황이다. 서울시는 스웨덴 말라 제품을, 한국도로공사는 미국 GSSI 제품을 보유하고 잇다.

천세창 특허청 특허심사1국장은 “싱크홀을 재난으로 인식하고, 국내 지질특성 파악 및 싱크홀 발생원인을 사전에 찾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한국 지질특성에 맞는 탐사신호 처리·분석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면서 “이제 우리도 선진국 수준의 싱크홀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